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 기초

OSI 모델과 TCP/IP 모델

by 금소쿠 2021. 12. 22.
반응형

OSI 모델이란 무엇인가?

지금은 생각조차 할 수 없지만 같은 회사의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A사의 컴퓨터가 B사의 컴퓨터와는 통신을 할 수 없는 엄청나게 불편했던 시절이었습니다.

거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도 회사별로 다르다면 더 곤란한 상황이었겠죠?

이러한 일들이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만들어야만 했습니다.

※ 규격 -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제정한 기준을 말하는데 보통은 기술적 표준을 의미한다.

 

표준 규격을 정하는 단체에는 여러 곳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ISO라는 국제표준화기구가 있습니다.

이 단체는 OSI 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습니다.

※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화기구)의 약어

 

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입니다.

데이터의 송수신은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이때 컴퓨터 내부에서는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이런 일을 일곱 가지 계층으로 나눠서 합니다.

그 일곱 가지의 계층이 아래의 표와 같은 OSI 모델입니다.

계층이라는 용어 대신 레이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OSI 모델의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7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6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5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2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1계층

통신을 할 때 데이터는 맨 위의 응용 계층에서 순차적으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됩니다.

 

OSI 모델은 각 계층에 따라 하는 주어진 역할이 다릅니다. 아래 표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계층 이름 설명
7계층 응용계층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이메일 &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6계층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문자 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한다.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4계층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한다.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한다.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한다.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한다.

이렇듯 표와 같이 각 계층마다 역할을 부여해서 표준화한 것이 OSI 모델입니다. 

이번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을 포함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쪽(송신 측)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각 계층은 독립적이므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동안에 다른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데이터를 받는 쪽(수신 측)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각 계층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TCP/IP모델이란 무엇인가?

지금까지는 OSI 모델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7계층을 4계층으로 바꿔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이 4계층 모델을 TCP/IP 모델이라고 합니다.

TCP/IP 모델은 아래의 표와 같이 4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CP/IP 모델의 4계층
응용 계층 4계층
전송 계층 3계층
인터넷 계층 2계층
네트워크 접속 계층 1계층

표와 같이 OSI 모델 보다 적은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OSI 모델의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이 TCP/IP 모델에서는 응용 계층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이 TCP/IP 모델에서는 인터넷 계층으로 데이터 링크와 물리 계층은 네트워크 접속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각 계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통신 규칙을 말합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0) 2021.12.23
캡슐화와 역 캡슐화  (0) 2021.12.22
네트워크의 규칙  (0) 2021.12.21
LAN? WAN?  (0) 2021.12.21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0) 2021.12.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