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의 규칙

by 금소쿠 2021. 12. 21.
반응형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정보기기 사이 즉 컴퓨터끼리 또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 등에는 정보교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한 여러 가지 통신규칙과 방법에 대한 약속 즉, 통신의 규약을 의미한다.

통신규약이라 함은 상호 간의 접속이나 전달 방식, 통신방식, 주고받을 자료의 형식, 오류 검출 방식, 코드 변환 방식, 전송속도 등에 대하여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종(機種)이 다른 컴퓨터는 통신규약도 다르기 때문에, 기종이 다른 컴퓨터 간에 정보통신을 하려면 표준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각각 이를 채택하여 통신망을 구축해야 한다.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의 예를 든다면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TCP/IP가 이에 해당된다.

정보통신의 상대방은 일반적으로 원격지에 있다. 따라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데, 통신망에는 정상적인 신호의 흐름을 훼방하는 여러 가지 현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정확한 정보의 전송을 방해하여 도중에 오류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프로토콜이라는 규약의 집합 속에는 이러한 오류에 대응하기 위한 약속이 대단히 중요하다. 또한 정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개체 간에 서로 정보의 전송 시점과 수신 시점을 맞추는 일(동기화)도 수행해야 하고, 정보 흐름의 양을 조절하는 흐름 제어방법도 역시 사전에 약속하여 프로토콜 속에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오류 제어, 동기, 흐름 제어, 코드 변환, 전송속도 등에 대한 약속 이외에도 통신하는 상대방의 위치에 따라 통신 개체가 어느 OSI 계층에 있는가와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위한 기법, 정보의 안전성(보안)에 관한 약속들도 프로토콜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듯이, 네트워크에서도 규칙 혹은 약속을 지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못하는 미국인이 만났다면 이 두 사람은 대화를 할 수 있을까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화를 할 수 없습니다.

한국인이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해도 미국인은 한국어를 모르니까 대답을 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미국인이 "Hello" 혹은 "HI"라고 인사해도 한국인은 영어를 모르니까 대답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단순하게 생각해서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대화를 하면 됩니다.

물론 어떤 한 가지의 공통된 언어를 서로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붙게 됩니다만, 서로 공통으로 알고 있는 언어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 언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 놓으면 문제없이 대화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와 같은 규칙을 네트워크에선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단어이지만 네트워크에서는 매우 중요한 용어이기 때문에 꼭 기억을 해야 합니다.

그럼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편지를 예로 들어 프로토콜을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십시오.

① 편지를 쓴다.
② 편지를 우체통에 넣는다.
③ 우편배달부가 우체통에서 편지를 수거한다.
④ 수거한 편지를 가까운 우체국으로 가져간다.
⑤ 우체국에서 편지를 분류한다.
⑥ 우편배달부가 수신처에 가까운 우체국으로 편지를 운송한다.
⑦ 운송된 편지를 수신처의 우편함에 넣는다.
⑧ 우편함에서 편지를 찾는다.
⑨ 편지의 내용을 읽는다.

단, 위의 표 2번에서 주소를 적지 않거나 우표를 붙이지 않은 채로 우체통에 편지를 넣으면 편지를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주소를 적고 우표를 붙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규칙에는 '편지를 쓰는 규칙', '편지를 보내는 규칙', '우체국의 규칙' 등 여러 가지 규칙이 있는데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가 쓴 편지가 상대방에게 도착해서 읽히기까지는 여러 규칙을 거친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지금 설명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편지에 대한 규칙을 예로 들었지만,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으로 바꿔서 생각해 보면 좀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캡슐화와 역 캡슐화  (0) 2021.12.22
OSI 모델과 TCP/IP 모델  (0) 2021.12.22
LAN? WAN?  (0) 2021.12.21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0) 2021.12.20
네트워크의 구조  (0) 2021.12.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