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네트워크 기초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by 금소쿠 2021. 12. 27.
반응형

이더넷 규격에 대하여...

이더넷은 케이블 종류나 통신 속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분류됩니다.

동축케이블
UTP 케이블

다음 표에 이더넷의 대표적인 규격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규격 이름 통신 속도 케이블 케이블 최대 길이 표준화 연도
10BASE5 10Mbps 동축케이블 500m 1982년
10BASE2 10Mbps 동축케이블 185m 1988년
10BASE-T 10Mbps UTP케이블(Cat3이상) 100m 1990년
100BASE-TX 100Mbps UTP케이블(Cat5이상) 100m 1995년
1000BASE-T 1000Mbps UTP케이블(Cat5e이상) 100m 1999년
10GBASE-T 10Gbps UTP케이블(Cat6a이상) 100m 2006년

여기서 BASE는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0BASE-T를 대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10은 Mbps 단위인 통신 속도로 10Mbps라는 뜻입니다.

그다음 BASE는 BASEBAND라는 전송 방식을 나타내고, T는 케이블 종류를 나타냅니다.

규격 이름을 보면 전송 방식 다음에 바로 숫자가 붙은 게 있고 하이픈(-)이 붙고 바로 뒤에 알파벳이 붙은 게 있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하이픈(-) 뒤는 케이블 길이나 종류를 나타내지만, 동축케이블은 케이블의 최대 길이를 100미터 단위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10BASE5는 케이블의 최대 길이가 500미터이므로 5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UTP 케이블은 케이블 종류를 표시하는데, 10BASE-T는 UTP 케이블을 말하는 겁니다.

최근 컴퓨터의 랜 포트는 1000BASE-T가 일반적입니다. 조금씩 10GBASE-T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추가정보 - 나무위키참조」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중심축에 내부 도체가 있고 이를 절연체로 둘러싼 뒤, 여기에 외부 도체를 원통의 그물 형태로 씌우고, 최종적으로 피복으로 감싼 형태의 케이블이다. 외부 도체를 쉴드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원통 형태로 둘러싸면 전자기장을 차폐하는 효과가 나오기 때문에 노이즈의 간섭을 덜 받게 된다. 주위에 고주파 신호가 케이블을 통과해도 동축 구조로 상쇄하고 고주파를 매우 적은 손실로 장거리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전화선 같은 일반적인 2선짜리 케이블보다 장거리 전송이나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경에 따라 교류 임피던스가 다른데,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신호 케이블 등은 대부분 75옴(ohm) 짜리 케이블, UHF-TV는 간혹 300옴짜리 케이블을 사용하지만 고주파를 다루는 오실로스코프 등은 보다 굵은 50옴짜리 케이블을 주로 쓴다. 요즘은 거의 50옴 규격으로 통일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가장 널리 사용된 분야는 TV 안테나를 연결하는 용도이며, 이 때문에 안테나선이라고도 부른다. 케이블의 굵기, 도체의 굵기, 쉴드의 특성, 전기적 특성 등등에 따라서 수도 없이 많은 종류가 있는데, 그냥 이런 구조를 가지기만 하면 모두 동축케이블이라고 부른다.

 

주로 사용하는 단자는 RF 단자와 BNC 단자가 있다. 주로 이들을 사용하지만, 그 외 다른 단자들도 얼마든지 사용된다.

· RF 단자: 일반적으로 안테나선에서 사용하는 나사 형태의 단자이다.

· BNC 단자: 꼽고 돌리면 고정되는 형태의 BNC 단자도 많이 사용된다.

 

이더넷 케이블(Ethernet Cable)

원래 전화선 용도로 쓰이다가 현대에서는 주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가장 흔하게는 랜선이라고도 불리고, 혹은 세부 분류인 UTP라는 이름이 익숙하게 알려져 있기도 하다.

RJ-45 단자 2개와 케이블, 니퍼 (탈피기나 가위도 무관) 랜 툴이라는 공구만 있으면 쉽게 제작할 수도 있다. 양 끝의 피복을 벗긴 후 내부에 있는 8가닥의 케이블들을 만들고자 하는 케이블의 배열 순서대로 펴서 정리하고 가지런히 자른다. 이를 RJ-45 단자에 넣고 랜 툴로 단자를 집어주면 끝이다. 랜 툴 세트는 인터넷에서 1~2만 원이면 구할 수 있다. 다만 랜툴 세트에 딸려오는 케이블은 아주 저질이기 때문에 그냥 버리는 게 낫고 너무 저렴한 랜 툴은 오래 쓰기에 별로 좋은 제품은 아니다. 랜 툴의 플러그를 찝는 이빨 부분이 정교하지 않아서 안 맞기도 하고 약해서 몇번 찍고 나서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

'IT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의 구조  (0) 2021.12.28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1) 2021.12.28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0) 2021.12.27
스위치의 구조  (0) 2021.12.26
MAC 주소의 구조  (0) 2021.12.25

댓글